3월에 산책에 재미들려서 여기저기 다녔다.
발 닿는대로 다니다가 행주산성이 있는 덕양산부터 시작해 고양 생태공원을 지나 마포 상암, 망원, 합정을 거쳐 상수역까지 갔던 날이 있었다. 소요시간은 약 4시간.

친구와 행주산성에 가기로 미리 정하고 나름 소소한 계획을 세웠다. 내가 조금 먼저 도착해서 주변 구경했는데 뭔가 이상했다. 너무 조용했던 것. 자세히 보니 매주 월요일 휴관일이었다. 별 생각이 없어 설마 휴관일 일거라고 예상하지 못했다. 어쩌지 하다가 일단 한강변에 있는 행주산성공원으로 갔다. 행주산성 입구에서 걸어서 10분 정도 거리였고 거기엔 사람들이 더러 있었다.

 

 

공원산책이라도 해볼까 하다가 마침 눈 앞에 산으로 올라가는 길이 보였다. 딱히 표지판은 없는데 계단이 있길래 혹시나 하는 마음에 올라갔는데 나름 전망대도 있고 오를 만 했다.
더 안쪽으로 가다보니 올라가는 길과 내려가는 길 2갈래 중 선택해야했다. 우리는 일단 쭉 올라갔다. 한강과 주변 풍경도 잘 보이고 해서 신났다. 사람들이 별로 다니지 않는 길인지 낙엽이 가득했다. 야생동물 주의 표지판도 있어서 왠지 뱀이라도 실수로 밟을 것 같았다. 인적이 드물어서 여기서 산짐승이라도 나오면 어쩌지하는 상상을 하며 갔다. 더 올라가다 보니 전혀 정돈되지 않은 묘지들이 있는 곳도 지나갔다. 여긴 누구의 무덤인 걸까 하며. 낮이라서 무섭진 않은데 밤에 보면 좀 무서울 듯.

이 산에서는 재미있게도 어디로 가야되지 하는 부분에서 꼭 누가 한명씩 지나가서 길을 잘 찾을 수 있었다. 행주산성이랑 같은 산이지만 그 내부로 들어갈 수는 없게 되어있었다. 비교적 완만한 산이라 다 오르고 내리는데 한시간이면 충분했다. 아까 갈림길에서 내려가는 길 쪽은 산 아래쪽에 쭉 연결된 나무 데크길이 있어서 조금더 평지 산책하는 느낌으로 다닐 수 있는 듯 했다.

 

적당한 지점에서 내려오니 건너편으로 가야 고양대덕생태공원으로 갈 수 있는데, 어떻게 가야할지 모를 상황이었는데 마침 어떤 사람이 강 가운데 있는 길로 건너오는 게 보였다. 그 분을 발견한 덕에 수월하게 그 길로 건너 평지 산책을 시작했다.

 

 

 


고양대덕 생태공원은 서울의 한강공원처럼 정돈된 것은 아니고 조금 더 야생적인 느낌. 약간 방치된 느낌도 있고 매우 한산하고 가끔 낚시하는 분들도 있었다. 거대한 억새풀인지 갈대인지도 많고 도심 속 자연과 한산함을 제대로 체험했다. 이 시기는 3월 초라서 아직 나뭇잎이 자라지도 않고 잡초만 조금씩 자라고 있었다. 봄이라기엔 약간 겨울 같은 느낌. 사람이 없고 길도 넓은 편이라 운동삼아 오기 좋은 것 같다. 특히 자전거 타는 사람들에게. 길을 따라 마포 방향으로 쭉 빠르게 걸었다. 공사하는 거대한 부지도 있는데 뭐를 짓는지 궁금했다. 그렇게 걷다가 고양시가 끝나고 서울 한강공원으로 진입했다.

 

 

서울쪽에 오니 확실히 사람이 많아졌다. 지나가다보니 난지캠핑장도 보였고 이번에는 정돈된 생태공원도 지나갔다. 멧돼지를 만나면 어떻게 해야하는지를 배울 수 있었고 아직 조금 쌀쌀해서인지 표지판에 나온 동물들은 볼 수 없었다. 맹렬히 걷다가 상암쪽에 이르러서야 한 번 쉬었다. 맥주 한 캔 하면서 잠시 여유를 가진 뒤 다시 걸었다. 망원과 합정을 지나 상수까지. 그 쪽 구간은 종종 가던 곳이라 새롭지는 않았는데, 매번 밤에만 가다가 낮에 갔더니 활기찬 곳이었다. 밤에는 혼자 산책겸 운동 다니다가 무서울 때도 있었는데. 또한 평일임에도 사람들이 제법 있어서 놀랐다. 확실히 점점 서울 중심으로 이동할 수록 사람이 늘어나는 듯 했다.

 

열심히 걸었기에 바로 상수역 인근으로 이동해서 가리비회와 파전을 신나게 먹었다. 운동 후 한 잔 하는게 요즘 인생의 낙이다.

 

산도 조금 오르고 평지도 열심히 걸어서인지 다리가 후들거렸지만 약 4시간 정도의 여정이 끝나니 성취감도 들고 좋았다. 그리고 다음날 엄청난 전신 근육통에 시달렸다.

Posted by jurmie
: